개발환경 구축하기
웹 아키텍처
JSP/SERVLET , SPRING , SPRING BOOT
배치 (일괄처리)
서버환경의 이해
client server 아키텍처, web 아키텍처의 차이점
서버환경
presentation(jsp) , business logic(코딩들) , data/access logic(db, 연결들)
one 티어 (세가지 모듈이 하나로 담겨 있음 )
→ 불편
2 tier
→ 전용 client 프로그램이 필요하다. (병원 진료)
: 데이터는 공유 가능하나 클라이언트간 통신이 어렵다
3 tier
온라인 게임
Server 를 통해 Client 간 통신 가능(business logic)
단점 : Client 프로그램의 배포의 문제
모든 사용자가 다 업데이트 or 설치가 필요
Client 수 만큼 배포가 이뤄져야 한다.
web architecture
배포를 서버에다만 한다.
단점 : 브라우저 기능에 의존
호환문제, 추가기능 사용시 보완 취약
Cross Browsing
서버 ← 요청
jsp도 서버에 논다.
로직, 서버가 바껴도 서버에 저장 → 클라이언트는 저장할 필요가 없다.
server 2개로 나뉜다.
Web Server , Web Application Server 로 나뉜다.
rac
부하 분산 ( master → node 1, node 2 , node 3 )
형상관리의 필요성 이해
:
world wide web
url 을 통해 요청
정적 → 동적으로 컨텐츠를 생성. Web 프로그래밍 환경등장
html 을 동적으로 할 수 있지 않을까? → applet, jsp, asp, 웹 어플리케이션 , php )
nodejs
servlet/jsp 는 thread 방식으로 실행→ 동시 처리 성능이 우수
main 함수를 통해 실행하지 않는다.
server 가 실행을 한다.
화면중심/(html, css/....)
데이터중심 (json, xml)
200 데이터가 잘들어왔다.
404 주소를 찾을 수 없다.
parameter 를 보낸다.
querystring
port number 를 생략가능한 경우 : 정해진 포트넘버를 사용할 떄
http : 80
https : 443
servlet : 자바의 웹 개발 표준 스펙. 스펙에 따라 만들어진 소스. 멀티 쓰레드로 실행
web container : 표준 규약에 따라 구현된 웹 어플리케이션 관리하고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
tomcat : web application server
http 메시지를 이용해서
httpsservlet 을 상속받아서
mapping 이나 어노테이션
댓글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