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언어 기본 타입

 문자형 

정수형

실수형

복소수형

논리형

범주형 : 명목척도, 서열척도 등의 범주형 데이터 

원시형

null : 빈값 


r에서는 벡터가 기본이다. 

원자벡터 ( Atomic vector ) : 기본 데이터형 


Vector : 1차원 데이터고 동일한 자료형이 들어간다. 1줄로 들어감

Matrix(행렬 ) : 2차원 데이터, 동일 자료형 

Array 배열 : 2차원 이상의 데이터를 핸들링할떄 , 동일 자료형 

List(리스트 ) : 객체 그룹화, 키 (key) 접근 가능 데이터 

데이터 프레임(Data frame) : 2차원 , 열 별 다른 유형 데이터형 가능 


r은 할당시 <- 와 = 를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<- 를 사용 

* R은 선언과 할당이 함께 이루어짐


- 기본데이터 검사하기

typeof(객체) 

기본 데이터(원자 벡터)의 유형을 알려줌


해당 기본 데이터 유형인지 판정

is.character(객체) : 문자형 여부 판정

is.integer(객체) : 정수형 여부 판정

is.double(객체) : 실수형 여부 판정

is.complex(객체) : 복소수형 여부 판정


기본 데이터 유형 변환

as.character(객체) : 문자형으로 변환

as.integer(객체) : 정수형으로 변환

as.double(객체) : 실수형으로 변환

as.complex(객체): 복소수형으로 변환 

변환 명령어 후 <- 로 할당 하여야 객체가 최종 변환됨 



- 데이터 구조가 어떤건지 알려주는 것 

-class(객체) 

객체의 종류를 알려줌 

벡터의 경우 기본 데이터 유형을 알려주게 됨 


-str(객체)

객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알려줌 



- 벡터 (Vector) 


1차원 데이터, 동일 자료형 

기본적으로 c() 형태로 할당하며, 1개의 기본 데이터(원자 벡터) 의 경우는 생략할 수 있음 

c(1 , 2, 3) 를 넣으면 여러개 데이터 넣을 수 있네. 

 a <- 1 , a <- c(1) , a <-c(1,2,3) 

* r의 인덱스는 [1]부터 시작한다. (1부터 할당 됨 ) 


-기타 벡터 생성 방법

seq() 

    등차수열 생성 ( 앞과 뒤가 일정한 차로 생성되는 수열) 

    사용법 

        seq(끝 값) : 등차 1로 1부터 끝 값까지 생성

        seq(시작값, 끝 값) : 등차 1로 시작 값부터 끝 값까지 생성 

            시작값 : 끝 값 명령어와 동일

        seq(시작 값 끝 값, 등차) : 입력한 등차로 시작 값부터 끝 값 이하의 생성 

        가능한 등차수열 생성  

        help(seq)


req() 

    특정한 값 자체를 일정한 만큼 생성하고 싶을 떄 

    동일한 값을 생성하는 함수

    사용법

        req(생성할 값 , 개수) : 생성할 값을 개수 만큼 생성함 

        req(생성할 값, times=개수) : 위와 동일함

            r에서는 함수 세부 파라미터 이름을 입력하지 않아도 됨 


메모리 정리하기 

rm(list - ls())

rm (a ) 
















 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