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0.11.02 HTML 수업 노트

 단편집 


<!DOCTYPE html>

<html>

<head>

<meta charset="UTF-8">
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
<style>

 div {

  column-count: 3; 

 }


</style>

</head>

<body>



 <pre>

  

  div{

  column-count: 3; 

 }

 

 

 </pre>

 <div>

 숙박시설 중 규모가 비교적 큰 곳. 소규모로 여관이 있다면 호텔은 대표적인 대규모 숙박시설이다.

  호텔의 시설 수준에 따라서 하룻밤 묵는 비용도 다양한데, 고급스러운 곳은 하루 숙박요금이 몇 십만 원이고 

  보통 호텔의 경우는 몇 만 원에서 10만 원 정도이다. 

  국가원수나 재벌총수급들이 묵는 최고급 룸은 하루 숙박비가 수천만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.

   고급스러운 곳은 호텔에 필요한 필수 시설은 물론, 전망은 입이 딱 벌어질 정도로 좋고, 

   룸에 연회실까지 있는 등 거의 왕궁 수준인 곳도 있다.


어원은 여행자들을 위한 숙소라는 뜻의 hospitale에서 유래했으며 

이는 나중에 병자를 치료하기 위한 장소로 변용되어 hospital → hostel → hotel로 변화하게 된다. 

따라서 병원(hospital)과 어원이 같다. 

영어가 아닌 프랑스어에서는 이 어원 때문에 

'hôtel'은 숙박시설이란 뜻 외에도 '저택', '관저'라는 뜻이 있다. 

그래서 hôtel de ville은 영어로 번역하면 

'hotel of city'(도시의 호텔)이 아니라 'city hall(시청)'이 된다. 

이 때문에 프랑스 여행 중 시청을 호텔로 오해하고 하룻밤을 지낸 영국 관광객이 뉴스에 나온 적이 있다.

 

 

 </div>



</body>

</html>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박스모델 

<!DOCTYPE html>

<html>

<head>

<meta charset="UTF-8">
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../css/public.css"> 

<style>

div{

border-radius : 30px 20px 50px; 

padding : 40px;

border : 20px solid orange; 

background-image : url(../images/cloud03.jpg);

}

#p1{

/* background-color : yellow; */ 

/* background-image : linear-gradient(blue, pink, green);  */

/*  background-image : linear-gradient(to right, white, pink, green); */

/*   background-image : linear-gradient(to right, white 5%, pink 80%, green);    */

/* background-image : linear-gradient(to top right , white, pink, green);  */

background-image : repeating-linear-gradient(white, pink 10%, green 20%); 

padding : 10px ; 

}

#p2 {

padding : 10px;

/* background-image : radial-gradient( circle, white, pink, green);  */

background-image : repeating-radial-gradient( gray, pink 20%, green 10%); 

}


</style>


</head>

<body>

 <div id="d1">

  <p id="p1">

  숙박시설 중 규모가 비교적 큰 곳. 소규모로 여관이 있다면 호텔은 대표적인 대규모 숙박시설이다.

  호텔의 시설 수준에 따라서 하룻밤 묵는 비용도 다양한데, 고급스러운 곳은 하루 숙박요금이 몇 십만 원이고 

  보통 호텔의 경우는 몇 만 원에서 10만 원 정도이다. 

  국가원수나 재벌총수급들이 묵는 최고급 룸은 하루 숙박비가 수천만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.

   고급스러운 곳은 호텔에 필요한 필수 시설은 물론, 전망은 입이 딱 벌어질 정도로 좋고, 

   룸에 연회실까지 있는 등 거의 왕궁 수준인 곳도 있다.


어원은 여행자들을 위한 숙소라는 뜻의 hospitale에서 유래했으며 

이는 나중에 병자를 치료하기 위한 장소로 변용되어 hospital → hostel → hotel로 변화하게 된다. 

따라서 병원(hospital)과 어원이 같다. 

영어가 아닌 프랑스어에서는 이 어원 때문에 

'hôtel'은 숙박시설이란 뜻 외에도 '저택', '관저'라는 뜻이 있다. 

그래서 hôtel de ville은 영어로 번역하면 

'hotel of city'(도시의 호텔)이 아니라 'city hall(시청)'이 된다. 

이 때문에 프랑스 여행 중 시청을 호텔로 오해하고 하룻밤을 지낸 영국 관광객이 뉴스에 나온 적이 있다.

  숙박시설 중 규모가 비교적 큰 곳. 소규모로 여관이 있다면 호텔은 대표적인 대규모 숙박시설이다.

  호텔의 시설 수준에 따라서 하룻밤 묵는 비용도 다양한데, 고급스러운 곳은 하루 숙박요금이 몇 십만 원이고 

  보통 호텔의 경우는 몇 만 원에서 10만 원 정도이다. 

  국가원수나 재벌총수급들이 묵는 최고급 룸은 하루 숙박비가 수천만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.

   고급스러운 곳은 호텔에 필요한 필수 시설은 물론, 전망은 입이 딱 벌어질 정도로 좋고, 

   룸에 연회실까지 있는 등 거의 왕궁 수준인 곳도 있다.


어원은 여행자들을 위한 숙소라는 뜻의 hospitale에서 유래했으며 

이는 나중에 병자를 치료하기 위한 장소로 변용되어 hospital → hostel → hotel로 변화하게 된다. 

따라서 병원(hospital)과 어원이 같다. 

영어가 아닌 프랑스어에서는 이 어원 때문에 

'hôtel'은 숙박시설이란 뜻 외에도 '저택', '관저'라는 뜻이 있다. 

그래서 hôtel de ville은 영어로 번역하면 

'hotel of city'(도시의 호텔)이 아니라 'city hall(시청)'이 된다. 

이 때문에 프랑스 여행 중 시청을 호텔로 오해하고 하룻밤을 지낸 영국 관광객이 뉴스에 나온 적이 있다.

  </p>

 

 

 </div>

 

  <div id="d2">

  <p id="p2">

  숙박시설 중 규모가 비교적 큰 곳. 소규모로 여관이 있다면 호텔은 대표적인 대규모 숙박시설이다.

  호텔의 시설 수준에 따라서 하룻밤 묵는 비용도 다양한데, 고급스러운 곳은 하루 숙박요금이 몇 십만 원이고 

  보통 호텔의 경우는 몇 만 원에서 10만 원 정도이다. 

  국가원수나 재벌총수급들이 묵는 최고급 룸은 하루 숙박비가 수천만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.

   고급스러운 곳은 호텔에 필요한 필수 시설은 물론, 전망은 입이 딱 벌어질 정도로 좋고, 

   룸에 연회실까지 있는 등 거의 왕궁 수준인 곳도 있다.


어원은 여행자들을 위한 숙소라는 뜻의 hospitale에서 유래했으며 

이는 나중에 병자를 치료하기 위한 장소로 변용되어 hospital → hostel → hotel로 변화하게 된다. 

따라서 병원(hospital)과 어원이 같다. 

영어가 아닌 프랑스어에서는 이 어원 때문에 

'hôtel'은 숙박시설이란 뜻 외에도 '저택', '관저'라는 뜻이 있다. 

그래서 hôtel de ville은 영어로 번역하면 

'hotel of city'(도시의 호텔)이 아니라 'city hall(시청)'이 된다. 

이 때문에 프랑스 여행 중 시청을 호텔로 오해하고 하룻밤을 지낸 영국 관광객이 뉴스에 나온 적이 있다.

  </p>

 

 

 </div>




</body>

</html>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백그라운드 이미지


<!DOCTYPE html>

<html>

<head>

<meta charset="UTF-8">
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../css/public.css"> 


<style>

p{ 

margin-left : 10% ; 


}

body{

/* background-image : url(../images/진달래.jpg);

background-repeat : repeat-x; /* no-repeat; /*repeat-y; no-repeat; 

background-position : center center; 

background-size : 100px 100px;

background-attachment : fixed ; 

background-color : yellow;   */

/* background: yellow; */ 

/* background : bg-color bg-image pisition /bg-size bg-repeat bg-origi */

background : lightblue url(../images/여행.jpg) repeat-x fixed center;

}


</style>


</head>

<body>


<pre>

background-image : url(../images/진달래.jpg);

background-repeat : repeat-x; /* no-repeat; /*repeat-y; no-repeat; 

background-position : center center; 

background-size : 100px 100px;

background-attachment : fixed ; 

background-color : yellow; 


background : lightblue url(../images/여행.jpg) repeat-x fixed center;

</pre>




<p>

나보기가 역겨워<br>

가실ᄯᅢ에는<br>

말업시 고히 보내드리우리다<br>

</p>

<br><br>

<p>

寧邊에藥山<br>

진달내ᄭᅩᆺ<br>

아름ᄯᅡ다 가실길에 ᄲᅮ리우리다<br>

</p>

<br><br>

<p>

가시는거름거름<br>

노힌그ᄭᅩᆺ츨<br>

삽분히즈려밟고 가시옵소서<br>

</p>

<br><br>

<p>

나보기가 역겨워<br>

가실ᄯᅢ에는<br>

죽어도아니 눈물흘니우리다<br>

나 보기가 역겨워<br>

가실 때에는<br>

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<br>

</p>

<br><br>

<p>

영변에 약산<br>

진달래꽃<br>

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<br>

</p>

<br><br>

<p>

가시는 걸음 걸음<br>

놓인 그 꽃을<br>

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<br>

</p>

<br><br>

<p>

나 보기가 역겨워<br>

가실 때에는<br>

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<br>

</p>

<br><br>



</body>

</html>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속성선택자


<!DOCTYPE html>

<html>

<head>

<meta charset="UTF-8">
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
<style>

p{

  color : red; 

}

p[title="무궁화 꽃"]{

font-size : 1.5em; 

}

/* #p1{} */ 

p[id=p1]{

background : yellow; 

}

p[id=f1]{

font-family : serif;

}

p[id=f2]{

font-family : sans-serif;

}

#f3{

font-family : monospace; 

}

.p2{}

p[class="p2"]{

letter-spacing : 20px; 

}

p[name=happy]{

font-size : 2.0em;  /*배수 body 에 있는 em은 강조*/ 

font-weight : bold; 

font-style : italic ;

text-shadow : 20px 10px 40px blue;  /*20px부분과 10px부분은 그림자위치가 움직이는 x축 y축 40px 있는곳은

그림자가 흐려지는것 blue 는 그림자의 색상 */

}

</style>

</head>

<body>

 <p id="f1" title="무궁화 꽃1">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. </p>

 <p id="f2" title="무궁화 꽃2">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. </p>

 <p id="f3" title="무궁화 꽃3">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. </p>

 

 <p id="p1"> 노랑 빨강 나뭇잎이 물들었습니다. </p>

 <p class="p2"> 11월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첫번째 월요일 입니다 </p>

 <p name="happy"> 행복하세요 </p>


</body>

</html>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수평리스트


<!DOCTYPE html>

<html>

<head>

<meta charset="UTF-8">
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../css/public.css"> 

<style>


 a {

  letter-spacing : 12px; 

 

 }


 a:link{

 

 color : green; 

 text-decoration : none; 

 

 }

 a:visited{

 color : red ; 

 

 }

 a:hover{

 color : blue ; 


 font-size : 1.2em; 

 

 text-decoration : underline; 

 }

 a:active{


background : yellow ; 

 }

 

 ul { 

  list-style-type : none;

  border : 3px solid red ; 

  padding : 5px;

  height : 70 px;

  padding-left : 20%;   

  border-left : none; 

  border-right : none; 

 

 }

 ul li { 

  float : left ; 

  /* border : 1px solid gray ; */

  margin : 20px ; 

  padding : 10px; 

 

 }

 

 

 

 

 

 

</style>


</head>

<body>

   <ul>

      <li><a href="http://www.naver.com" target="_blank">Home</a></li>

      <li><a href="#">Blog</a></li>   

      <li><a href="#">About</a></li>

      <li><a href="#">Contact</a></li>

   </ul>



</body>

</html>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border_test


<!DOCTYPE html>

<html>

<head>

<meta charset="UTF-8">
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../css/public.css"> 

<style>

 div { 

  width : 200px;

  height : 200px; 

  border : 1px solid blue;

  margin : 10px;

 

 

 }

 

 

 #d2 {

  border-radius : 80%; 

  box-shadow : 30px 20px 20px red;

 

 }

 #d3 {

  border-radius : 10px 50px; 

 

 }

 #d4 {

  border-radius : 0px 50% 50% 50% ;  

 }

 


</style>


</head>

<body>

기본

<div id="d1"></div>

border-radius : 80%; <br>

box-shadow : 30px 20px 20px red;

<div id="d2"></div>

border-radius : 10px 50px; 

<div id="d3"></div>

border-radius : 0px 50% 50% 50% ;  

<div id="d4"></div>



</body>

</html>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list-style


<!DOCTYPE html>

<html>

<head>

<meta charset="UTF-8">
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
<style>

div{

width : 150px; 

height : 300px; /*  auto */

border : 1px dotted pink; 

margin : 5px ; 

padding : 10px; 

float : left; 

}


/* ul[id-list1] {} */

ul#list2{

list-style-type: circle; 

list-style-position : outside; /*inside;*/

}

#list3{

list-style-type : square; 

#list4{

list-style-image: url(../images/check.png); 

}

ul, li{

border : 1px solid orange; 

}

hr{

clear : both; 

}

#list6 {

list-style-type : lower-alpha; /* lower-alpha;*/

}

#list7 {

list-style-type : lower-roman; /* lower-alpha;*/

}

#list8 {

list-style-type : hangul; /* lower-alpha;*/

}

#list9 {

list-style-type : korean-hangul-formal; /* lower-alpha;*/

}

#list10 {

list-style-type : hangul-consonant; /* lower-alpha;*/

}

</style>

</head>

<body>

<div>

<h4>list-style-type: disk; 

</h4>

<ul id="list1">

<li>무궁화</li>

<li>개나리</li>

<li>진달래</li>

<li>수선화</li>

<li>라일락</li>

</ul>

</div>



<div>

<h4>list-style-type : circle; <br>

list-style-position : inside; <br>

</h4>

<ul id="list2">

<li>무궁화</li>

<li>개나리</li>

<li>진달래</li>

<li>수선화</li>

<li>라일락</li>

</ul>

</div>


<div>

<h4> list-style-type 

square; 

</h4>

<ul id="list3">

<li>무궁화</li>

<li>개나리</li>

<li>진달래</li>

<li>수선화</li>

<li>라일락</li>

</ul>

</div>



<div>

<h4>list-style-image: url(../images/check.png);  </h4>

<ul id="list4">

<li>무궁화</li>

<li>개나리</li>

<li>진달래</li>

<li>수선화</li>

<li>라일락</li>

</ul>

</div>


<hr>



<div>

<h4>

list-style-type : decimal; 

</h4>

<ol id="list5">

<li>무궁화</li>

<li>개나리</li>

<li>진달래</li>

<li>수선화</li>

<li>라일락</li>

</ol>

</div>


<div>

<h4>

list-style-type : lower-alpha;

</h4>

<ol id="list6">

<li>무궁화</li>

<li>개나리</li>

<li>진달래</li>

<li>수선화</li>

<li>라일락</li>

</ol>

</div>


<div>

<h4>list-style-type : lower-alpha;

</h4>

<ol id="list7">

<li>무궁화</li>

<li>개나리</li>

<li>진달래</li>

<li>수선화</li>

<li>라일락</li>

</ol>

</div>


<div>

<h4>list-style-type : hangul; /* lower-alpha;*/

</h4>

<ol id="list8">

<li>무궁화</li>

<li>개나리</li>

<li>진달래</li>

<li>수선화</li>

<li>라일락</li>

</ol>

</div>



<div>

<h4>list-style-type : korean-hangul-formal; /* lower-alpha;*/

</h4>

<ol id="list9">

<li>무궁화</li>

<li>개나리</li>

<li>진달래</li>

<li>수선화</li>

<li>라일락</li>

</ol>

</div>



<div>

<h4>list-style-type : hangul-consonant; /* lower-alpha;*/

</h4>

<ol id="list10">

<li>무궁화</li>

<li>개나리</li>

<li>진달래</li>

<li>수선화</li>

<li>라일락</li>

</ol>

</div>





</body>

</html>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text-style


<!DOCTYPE html>

<html>

<head>

<meta charset="UTF-8">
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
<style>

div{

padding : 10px; 

margin : 5px; 

border : 1px solid green ; 

}

textarea {

direction : rtl; /*  ltr;  */

}

textarea {

direction : rtl ; 

}

#d1 { 

text-indent : 50px;  /*들여쓰기*/

line-height : 30px;  /*줄 사이 간격*/

letter-spacing : 5px; /*글자 사이 간격 */ 

}

#d2 {

text-align : right; /*오른쪽 정렬*/

text-decoration : underline;  /*밑에 줄이 간다. */

}

#p1 {

text-transform : Lowercase ; 

}

#p2 {

text-transform : uppercase ; 

}

#p3 {

text-transform : capitalize ; 

}

</style>


</head>

<body>

<pre>

#d1 { 

text-indent : 50px;  /*들여쓰기*/

line-height : 30px;  /*줄 사이 간격*/

letter-spacing : 5px; /*글자 사이 간격 */ 

}

</pre>



<textarea rows="10" cols="60"></textarea>

<br><br> 

<div id="d1">

드립 커피(Drip Coffee)란 볶아서 갈은 커피 콩을 거름 장치에 담고,

 그 위에 물을 부어 만드는 커피로 보통 원두커피로 불린다.

드립 브류(Drip brew)라 함은 이와 같이 커피를 만드는 방법을 일컫는다. 

거름 장치를 필터라고도 하기 때문에 드립 커피를 영어로 filtered coffee라고도 한다.[20]

</div>


<pre>

#d2 {

text-align : right; /*오른쪽 정렬*/

text-decoration : underline;  /*밑에 줄이 간다. */

}

</pre>



<div id="d2">

커피콩은 주로 적도지방 라틴 아메리카, 동남아시아,

 남 아시아 그리고 아프리카의 70여개국에서 재배되는 커피나무에서 얻을 수 있다.

  녹색 커피콩(로스팅 전의 콩, 생두)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교역되는 농산물 중의 하나이다.

  [2] 커피는 그 카페인 성분으로 인해 사람을 각성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. 커피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음료 중의 하나이다.

  [3] 1년에 세계적으로 약 6천억 잔이 소비된다.


커피는 많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. 

커피의 기운을 북돋우는 효과는 에티오피아 동북부 지방에서 발견된 것으로 생각되며, 

커피의 재배는 아랍으로 처음 전파되었다.[4] 

커피의 음용에 대한 최초의 믿을 수 있는 증거는 15세기 중반, 남부 아라비아의 예멘의 수피즘 사원에서 발견되었다.

[4] 커피는 무슬림 세계로부터 인도, 이탈리아, 그리고 나머지 유럽으로, 인도네시아, 미주 대륙으로 전파되었다.

[5][6] 남 아프리카와 예멘에서, 커피는 종교의식에 사용되었고, 그 결과,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는 세속적인 소비를 금지하였고, 금지령은 에티오피아 메네릭 2세 때까지 유지되었다.

[7] 커피는 오토만 제국 터키에서 17세기에 정치적인 이유로 금지되었고,[8] 유럽에서는 반체제적 정지 활동과 연관되어 있었다.


</div>


<div id="d3">

<strong>text-transform : Lowercase ; </strong>


<p id="p1">Happy New Year~~ Merry Christmas..</p> 

<strong>ext-transform : uppercase ; </strong>

<p id="p2">Happy New Year~~ Merry Christmas..</p> 

<strong>text-transform : capitalize ; </strong>

<p id="p3">Happy New Year~~ Merry Christmas..</p> 

</div>




</body>

</html>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word_wrap 


<!DOCTYPE html>

<html>

<head>

<meta charset="UTF-8">
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../css/public.css"> 

<style>

p.test1 {

            width: 11em;

            border: 1px solid #000000;

             word-wrap: break-word; 

        }

.test2{

width : 11em; 

border : 1px solid #000000;

/* word-wrap : break-word;  */

}

</style>


</head>

<body>

<pre>

공백 없이 계속 이어지는 단어를 줄바꿈 처리를 한다. 

word-wrap : break-word;

</pre>




    <p class="test1">

        매우 긴 단어가 있는 경우에 자동으로 잘라준다.

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

    </p>

    

    <p class="test2">

        매우 긴 단어가 있는 경우에 자동으로 잘라준다.

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

    </p>    

    

    

</body>

</html>







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