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ML 기초 ( PPT 2 정리 + 수업내용 정리 )

 <p></p> 태그 : 단락

paragraphs

단락의 전 후에 빈줄이 추가된다. 

 만약 <p> </p> p 테그안에 그냥 전부 다 넣어버리면 줄띄움이 안된다. <p> 테그를 여러개 써줘야 줄바꿈이 된다.  


<br> 태그 : 강제 줄바꿈 ( line break)

닫는 태그가 없다. 


<pre></pre> : previously formatted text 

프로그래머가 입력한 그대로 화면에 표시하는 태그 

내가 입력한 그대로 띄어쓰기 줄바꿈등등이 전부 그대로 나타나게 한다.  


<h1></h1> ~ <h6></h6> 태그 : heading 

글자크기가 지정되어 있다. 자동 줄바꿈이 적용된다. 


텍스트 서식 


<b> </b> 볼드체

<i> </i> 이탤릭체  

 // 참고 : <b>와 <i> 태그는 다른 모든 태그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만 사용 emp 더추천 

<strong></strong> 텍스트 강하게 

<em></em> 텍스르 강조 emphasize 

<code> </code> 텍스트가 코드임을 표시한다. 

<sup> </sup> 위첨자 (superscript) 

<sub> </sub> 아래첨자 ( subscript ) 


<hr> horizon 

닫는 태그가 없다. 

수평선 그리기 


특수문자 

&nbsp ;    non-breaking space 의 약자로 공백 문자 한개 

&lt;     <

&gt;    >

&quot;  "

&amp;  &



리스트 : 항목 나열하는데 사용 


<ul></ul> : 번호없는 리스트  (unordered list)  

<ol></ol> : 번호 있는 리스트 ( ordered list)  1, 2, 3

<dl></dl> : 정의 리스트 ( definition list ) 


리스트 항목 안에도 텍스트, 이미지, 링크 , 다른 리스트를 넣을 수 있다. 

위에 있는 세개 안에 <li></li> 를 넣으면 된다. 


<dl></dl> : 정의 리스트 ( definition list) 


문단부분이 <dl></dl> 

그 안에 큰 정의 <dt></dt> 

그안에 내용 <dd></dd> 


<a></a> 하이퍼링크(또는 링크) 

 <a href= "http://www.google.com" target="_balnk"> 구글 방문 </a>


href 속성은 링크의 목적지를 나타낸다. 

구글방문은 클릭하는 부분 

 target="_balnk" 타겟 속성이 "_blank" 이므로 링크는 새로운 탭에서 열린다.


target 속성 


각링크가 클릭되었을때 , 새로운 페이지가 어디에 열리는 지를 지정 


1) _blank 새로운 윈도우에서 새로운 페이지를 연다.

2) _self 현재 윈도우에서 새로운페이지를 보여준다

3) _parent 부모 프레임에 새로운 페이지를 적재한다.

4) _top 현재 윈도우에 새로운 페이지를 적재하고 모든 프레임을 취소한다.



id 속성 


<a href="#section1"> 참고사항으로 가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</a>

<br><br><br>

<br><br><br>

<br><br><br>

<a id="section1">참고사항</a> 


동일한 페이지 안에서도 점프 할 수 있는 기능 

ex) 

<h1>이순신</h1>

<a href="#lee1">어린시절</a> 



밑에 글부분에 

<h1 id="lee1">어린시절</h2>

이렇게 쓰면 


웹에 표시될때 위에 어린시절이 링크로 걸려있고 그것을 클릭하면 밑에 부분에 있는 별칭 부분이 있는 부분으로 이동한다. 






<img> 태그

<img> 태그는 이미지를 웹페이지에 삽입할 때 사용한다. 

이미지를 웹페이지에 삽입할 때 사용한다. 

<img src="seolak.jpg" width="300" height="230"> 


src 속성은 이미지 파일이름을 지정한다

width 가로크기 

height 세로크기


alt 속성 (<img> 태그에서 ) 

브라우저가 어떤 이유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지 못했을 경우에 그림대신 표시되는 대체 텍스트(alternate text)를 지정 

예시 : <img src="house.jpg: alt="A Nice House"> 


외부 css 스타일 적용 : 틀 사용하기 

<link rel="stylesheet"  href="../css/public.css">

미리 만들어놓은 틀을 사용하는것 


px 

px는 % 로 사용하는 것과 다르게 px는 화면이 줄거나 늘려도 변함이 없다. 


padding : 안쪽에 여백 주는것 

 ( ex> padding-left : 50pxl solid green; ) 

margin : 바깥쪽에 여백 주는것 

 (ex) margin : 50 px; ) 

border 


 

블럭요소와 인라인 요소 

-블럭요소 : 화면의 가로 길이를 끝까지 차지하는 요소 

    ex) 자동으로 줄이바뀜

    ex) h1~h6 , p , div, hr, pre, br 등등 

-인라인요소 : 지정한 범위만큼만 차지한다. 

    ex) 자동으로 줄이 바뀌지 않는다. 

    ex) sup, sub, span b, i , em, strong , img 


float  : **블럭요소를 옆으로 배치하기 위해서 **가로길이를 조절해 줘야한다.  

 left or right 스타일을 지정한다. 

예시


div{

float : left; 

}


범위 크기 : div > p > span 



auto  크기를 auto 로 지정해 줄 수 있다. 



ul 번호 없는 리스트

ex)


<ul>

    <li> <li>

     <li> <li>   

    <li> <li>

</ul> 

    


ol 번호 있는 리스트 


li 는 listitem 

: 텍스트. 이미지, 하이퍼링크 , 다른 리스트 


id 사용하기 

<div id ="dd">

</div> 

해주고 위에 스타일 부분에 

<style>

##dd{

}

</style>

요렇게 ##id이름 이렇게 해주면 그 아이디부분만 변경이 된다. 


예시 


div를 아래에 써주고 

위에 <style></style> 부분에 

div{

    border : 1px solid blue; 

    //겉에 선

    width : 150px;

    //너비 

    height : auto;

    //높이 

    padding : 10px;

    //선 안쪽에서 남는부분 

    margin : 5px; 

    //선 바깥쪽 남는부분

    float : left; 


}

이렇게 적어주면 그부분만 바뀜 


링크걸때 : 이미지로 vs 글자로 

-글자로 링크걸기

<a href="https://www.naver.com/" target="_blank">네이버</a>

-이미지로 링크걸기 

<a href="https://www.naver.com/" target="_blank"><img src="../images/네이버.jpg"></a>


링크 꾸미기 - 서로다른 


<style>

a:link{   ( 처음) 

    color : red; 

    text-decorationL line-through; 

}

a:visited{   ( 이미 방문된애 ) 

    color : green;

    text-decoration : none;

}

a:hover{   ( 마우스 올려놓을때 ) 

    color : gray; 

    font-size : 1.5em; 

    text-decoration : underline; 

    }

a:active{   (누르는순간) 

    color : blue;

    background : pink; 

    text-decoration : overline; 

    }

</style>


링크 꾸미기 - 전체 링크 

a{

border : 1px solid blue;

margin : 10px; 

margin-top : 20px;

padding : 10px; 

letter-spacing: 20px;

}


letter-spacing 은 글자간격이다. 




clear : both ;

float : left 속성이 만약 위에 있었다. 그것을 내가 지금부터 쓰고 싶은애는 적용 하기 싫을때

cleat : both ; 를 해준다. 이것은 블럭요소에서만 가능하다. 

ex) 

pre { 

    float : left; 

}

div { 

cleat : both ; 

{



min-width : 1000px : 화면크기에 상관없이 내용 고정

:  <style>태그 안에 써주면 전체 페이지에서 페이지를 작은창 또는 큰창으로 늘리고 줄여도 

원래있던 애의 크기는 줄어들고 늘어나지 않고 늘 일정하다. 일반적인 페이지처럼 


ex ) 

<style> 

 body{

    min-width : 1000px 

}


</style>



글씨 옆에 링크가 걸린 이미지를 넣어주기 

<h2> 아메리카노 5000원 

    <a href="아메리카노.html"> 

        <img src = "../images/아메리카노.jpg" alt="아메리카노"> 

    </a>

</h2> 


-<h2>는 블럭요소라서 글씨 옆에 그림을 넣어주려면 <h2> 태그 안에다 써주어야 한다. 

<a href="아메리카노.html">  :  얘는 html 파일을 새로 만들어줘서 이미지에 링크를 만들고 그 링크를 따라가면 새로운 페이지로 가게 해주려고 하는것이다. 아메리카노 제목의 html 을 만들어준다. 


<!DOCTYPE html>

<html>

<head>

<meta charset="UTF-8">
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
<style>

img {

width : 200px

height : 200px 

}


</style>

</head>

<body>

<h2>아메리카노</h2>

<img src="../images/아메리카노.jpg" alt="아메리카노">

<img src="../images/카페라떼.jpg" alt="카페라떼">

</body>

</html>

-> 아메리카노 라는 파일이름의 html 파일 형식의 새로운 페이지를 제작했다. 


이미지 태그를 넣어준다. 


table 

<table border = "1" > 꼭 써줘야 한다. 

    - 1또는 0 인데 0은 의미가 없다. 

행을 표현 : <tr> ..</tr>  row 

제목 데이터 : <th>.. </th> 

하나의 데이터 : <td> ... </td>

caption : 테이블의 제목 

여러개의 table의 스타일을 각각 다르게 지정하기 위해서 id 를 부여한다. 

table th { } 는 table 의 후선 th 를 선택한다는것 

table > {} 는 table의 자식을 선택한다는 것 



table 안에 있는 각각 데이터들 ( th, td )  <style> 주기 

<style>

td, th { 

    width : 150px; 

    height : 50px; 

    text-align : center; 

}

th {

       background : lightblue;  

    }


</style>








table{

border-collapse : collapse ; 

}

안적으면 기본이 border-collapse : separate 로 되어 있다. 

separate  를 적어줄때 : 안에 있는 <td>가 각각 하나로 인식되서 칸각각이 줄이 두줄생기는데 



collapse 를 적어줄때 : 칸과 칸사이 <td> 가 줄이 한개만 생긴다. 


<table id="first" border="1">


border 는 없으면 안쪽에 테이블 선을 안만들어줌 


text-align : center; 

안에 있는 텍스트를 중간에 배치해준다.  

ex) 

body {

        margin-left : 100px;  

    } 


table 에 이름과 id 부여하기 

<table id="first" border="1">
    <caption>VIP리스트</caption>

    <tr>

        <th><th>

        <td><td> 

    </tr>


<caption> 태그를 넣어주면 table의 제목을 부여해 주는것 


<id="first"> 라고 하면  


table id="first" 는 table의 이름을 부여해준다.  


이름을 부여받은거로 스타일에서 꾸며줄 수 있다. , table의 제목도 꾸며줄 수 있다. 


<style> 

#first { 

    border : 5px solid red; 

}

#first th { 

    background : light green; 

}

#first caption { 

    font-size : 2.0em; 

    caption-size : bottom; 

}

</style> 



colspan, rowspan  : 열과 행의 병합 


-rowspan 행병합 (row span) : 행이 병합되는 것 . 세로로 병합 




-colspan 열병합 (column span) : 열이 병합되는 것 . 가로로 병합

ex) 

<tr> 

    <td colspan ="2"> 1 </td> 가로로 2개였던거가 1개로 병합된다. 

    : colspan은 가로로 병합 

</tr>


ex) 

<tr>

    <td colspan="2" rowspan = "2"> 1 </td>

    가로로 (colspan) 2개가 1개가 됬고 밑에 줄까지 (rowspan) 이 병합된다. 여기서 주의할 점은 아래로 row 병합이 됬기 때문에 아래에서는 써주지 않아야 한다. 만약 써주면 

 다음 <tr></tr> 부분 이상해 질 수 있다. 

</tr>



iframe 

: 웹페이지 안에서 다른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. 

main 창에 inner 창이 있는것 

<body>

  1. html 파일안에( 실제적으로 보여주는 페이지) html 파일을 포함시킨다. 

    <iframe name ="ff" src="myhome.html"> </iframe> 

    name="ff" 로 iframe 의 이름을 설정해둬서 <style> </style> 안에서 뭔가를 꾸며줄것.

    src="myhome.html"

    html 문서 ( 우리가 계속 쓰는 문서 ) 중에 파일이름이 myhome으로 저장된 그 html        문서를 iframe 자리에 보여주겠다는 뜻 

   2. iframe의 name 의 값을 a 링크의 target 속성으로 지정한다.  


    <a href="카푸치노.html" target="ff">카푸치노</a>

    기본적으로 iframe 자리 ( 우리가 지금작업하고 있는 홈페이지) 에는 "myhome.html" 이 입력되는데 

   2번째에 있는 글씨 ( 2번째는 링크니까 ) 를 누르면 iframe에 "카푸치노.html " 파일이 

나온다는 뜻 

</body> 

    

 3. <style></style>  안에서 iframe 크기를 지정하면 된다. 


    ex) 

    iframe {

        width : 100%

        height : 500px; S

    }


<div> 와 <span> 


html 요소는 <div> 와 <span> 을 이용해 묶을 수 있다. 

<div >는 자체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없으며 block 수준의 요소 

하나의 줄을 전부 차지함 

<span> 은 자체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없으며 inline 요소로서 텍스트를 묶어 스타일을 적용할 때 사용한다. 

인라인 요소는 자신이 필요한 크기만 차지 하는 요소다

inline 요소는 크기를 지정할 수 없다 ( width , height 가 적용 되지 않는다. ) 


inline 요소일때 block 요소일때  display 속성


span 태그는 inline 요소로 가로 세로 크기가 조절되지 않는다. 

크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display : inline-block ; 을 이용해서 스타일을 지정한다. 

display : block(블럭요소 크기는 바뀌지만 줄이 바뀐다. ), inline(원래대로나온다 굳이 안써도됨 ), none(화면상에서 안보인다.), inline-block (줄이 안바뀌고 크기를 변경하고 싶다. ) 

ex> 

span {


display : inline-block;

width : 200px; 

height : 50px;  

margin-top : 15px; 

 }

<div></div> 요소






body {

    min-width : 1000px;

}























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