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ckage i_api;
import java.text.ParseException;
import java.text.SimpleDateFormat;
import java.util.Calendar;
import java.util.Date;
public class DateClaSS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TODO Auto-generated method stub
Date today = new Date(); //데이트 클래스를 객체생성
System.out.println(today); //현재날짜와 시간이 저장되어 있다. 날짜를 다룰 때는 date 객체를 사용할 수 있다.
//날짜 -> 문자열
SimpleDateFormat sdf1 = new SimpleDateFormat("yyyy-MM-dd");
SimpleDateFormat sdf2 = new SimpleDateFormat("HH:mm:ss.SSS"); //대문자 HH는 24시간을 나타내는것 .SSS는 초를 1000분의 1초단위로 표현
SimpleDateFormat sdf3 = new SimpleDateFormat("yyyy-MM-dd HH:mm:ss");
SimpleDateFormat sdf4 = new SimpleDateFormat("yy-MM-dd(E) hh:mm:ss a"); //E는 요일을 나타냄 hh 는 12시간을 기준으로 한다는것 a는 오전 오후를 표현해줄거임
System.out.println(sdf1.format(today));
System.out.println(sdf2.format(today));
System.out.println(sdf3.format(today));
System.out.println(sdf4.format(today));
//문자열 -> 날짜
String str = "1987년 05월 01일";
SimpleDateFormat sdf5 = new SimpleDateFormat("yyyy년 MM월 dd일" );
try {
Date dateStr = sdf5.parse(str);
} catch (ParseException e) {
e.printStackTrace();
}
//SIMPLE DATE 포멧을 가지고 데이트 객체로 바꾸는 작업
//날짜를 가지고 계산하기 : 데이터객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캘린더를 사용한다.
Calendar cal = Calendar.getInstance(); //이 메서드가 캘린더의 객체를 생성 //싱글톤 패턴 : 객체를 하나만 만들어서 사용하고 싶을 때
//Calendar cal = Calendar.getInstance(); //이미 만들어진 애를 리턴시킨다. 리턴되는 객체는 똑같은 애다. // 객체를 한번만 만들어서 사용을 하게 된다.
//new Date();
//날짜 계산하기
cal.setTime(new Date ());
//cal.set(field, value);
cal.set(2020, 8, 29); //2020/09/29 ( 월은 0부터 시작한다. )
System.out.println(cal.getTime());
//날짜 계산
cal.add(Calendar.YEAR, 1);
cal.add(Calendar.MONTH , 2);
cal.add(Calendar.DAY_OF_MONTH, -3);
cal.add(Calendar.HOUR, 4);
cal.add(Calendar.MINUTE, 10);
cal.add(Calendar.SECOND, -15);
System.out.println(sdf3.format(cal.getTime()));
}
}
댓글
댓글 쓰기